요즘 같이 어려운 시기이기에는 투자 이런것 보다는 적금 계좌가 최고 입니다.
우선은 안전하게 시드머니를 모아보셨으면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문재인 정부 시절에 있었는데요.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정부에 나온 것으로
청년들의 자립을 위한 정부 지원 사업입니다.
이전의 청년희망적금보다 청년도약계좌가 혜택이 더 좋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업그레이드 버젼이 청년도약계좌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기존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갈아타거나
중복으로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한지 많이 궁금해하십니다.
가입 대상은 만 19 ~ 34세 청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청년희만적금은 지원금 혜택도 적으면서 소득 조건도 까다로웠습니다.
기간도 2년으로 월 최대 50만원까지 였습니다.
그렇지만 청년도약계좌는 가구 소득 기준 중위 180% 이면서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이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기간은 5년에 월 최대 70만원까지 기간과 혜택이 늘었습니다.
5년 모으면 5,000만원?
금융위의 기준으로 월 70만원 5년 만기로 + 정부 지원 최대 6% 를 받는다고 가정합니다.
60개월 납입하면 원금 4200만원이고 비과세 이자 373만원 + 정부 지원 약 252만원 = 거의 5000만원이 모여집니다.
참고로 처음에 10년 1억 목표 이야기가 나왔었지만 5년으로 축소되며 금액도 줄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 소득에 따라서 정부의 지원금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소득에 따른 가입자 & 정부 기여금
소득구간 | 고정 정부기여 | 본인기여 한도 | 저축비례 정부기여한도 | 본인+정부 |
연소득 2400만원 이하 | 20만원 | 30만원 | 20만원 | 70만원 |
연소득 3600만원 이하 | 0 | 50만원 | 20만원 | 70만원 |
연소득 4800만원 이하 | 0 | 60만원 | 10만원 | 70만원 |
연소득 4800만원 초과 | 0 | 70만원 | 0 | 70만원 |
예로 연소득 2400만원 이하라고 하면 본인 30만원 + 정부 40만원 추가해서 70만원 맞춰서 계좌에 넣어줍니다.
그렇지만 공약 기반으로 예산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해서 봐주셨으면 합니다.
가입 조건 및 신청 시기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은 소득과 나이를 보는데요. 남자 분들은 병역이행기간이 빠집니다. 최대 6년으로 2년 다녀왔다면 2년은 제외를 해줍니다. 그러면 만 19 ~ 34+2 년까지 해당이 됩니다.
소득요건
가족소득 중위 180% 이하 또는 개인소득 연 6,000만원 이하 조건입니다.
개인소득은 원천징수 영수증을 발급 받으면 나옵니다. 그리고 소득이 아예 없는 경우는 가입이 안됩니다.
가족소득 중위 180% 이하는 보건족지부 자료를 참고해조시면 됩니다.
2022년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월 기준입니다.
가구원 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기준 중위소득 |
2022년 | 194만4812원 | 326만85원 | 319만4701원 | 512만1080원 | 602만4515원 | 690만7004원 |
2023년 | 207만7892원 | 345만6155원 | 443만4816원 | 540만964원 | 633만688원 | 722만7981원 |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인기가 많아서 신청 기간과 방법에 대해서 궁금하실텐데요.
아쉽게도 현재 2023년 예산안을 편성중으로 구제적인 방법과 시기는 아직 공지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검색사이트에서 청년도약계좌 신청으로 검색해서 들어가면 낚시글들이니 피하셨으면 합니다.
윤석열 정부의 공약을 세우고 22년 10월이 되어서 범정부 계획 내용에 추가되었고 아직은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과 신청 기간들은 아직 내용이 없다는 것입니다.
기존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능한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와 중복 여부에 대해서 궁금해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의 가입자는 290만명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려고 청년희망적금 해지해야 하는지?
또는 중복 가입이 가능한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이 계신데요.
아직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입니다.
SBS 뉴스에서 정부는 기존
청년희망적금의 중복 가입이나 갈아타기 여부는 아직 협의 중입니다.
2023년 6월 출시 예정으로 청년도약계좌의 세부시행방안은 공지된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2023년도 금융위원회청년지원금예산 |
청년도약계좌 : 3,528 억원 |
청년희망적금 : 3,602 억원 |
23년 금융위원회 발표한 예산 자료로 유추를 해보면 둘 다 동시에 진행이 된다는 말인데요.
청년도약계좌 재정투입 규모 | |||
3,528 억원 | 6,884 억원 | 6,932 억원 | 6,964 억원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청년도약계좌 재정투입 규모을 보면 국회 예산정책처 자료로 2024년 부터 2023년 보다 예산 규모가 두배가 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정부 예산으로 보면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기간도 2년이 끝나는 시점에 시행하는 것은 가입이 가능하다고 저는 조심히 유추해봅니다.
하여튼 지금은 알고만 계시고 시행이 되면 잊지 마시고 꼭 신청해서 혜택을 챙기셨으면 합니다.
카카오톡 PC버전 다운로드 및 사용 방법 (0) | 2023.01.16 |
---|---|
가죽 스웨이드 신발 운동화 세탁 방법 부터 관리 보관 까지 (0) | 2022.11.12 |
갑자기 스마트폰에 유심이 인식이 안된다고 나올 때 긴급 복구 방법 (1) | 2022.10.22 |
계란찜하고 냄비에 눌러붙은 바닥면 쉽게 설거지 하는 방법 (1) | 2022.10.03 |
삼성 도어락 이지온 SHS-2420 사용방법 요약 (0) | 2022.09.12 |